EKS Data/Data Engineering 2022. 5. 31. [Terraform] EKS삭제 시 "aws_auth" 에러 해결방법 │ Error: Get "http://localhost/api/v1/namespaces/kube-system/configmaps/aws-auth": dial tcp [::1]:80: connect: connection refused │ │ with module.eks.module.eks.kubernetes_config_map_v1_data.aws_auth[0], │ on .terraform/modules/eks.eks/main.tf line 431, in resource "kubernetes_config_map_v1_data" "aws_auth": │ 431: resource "kubernetes_config_map_v1_data" "aws_auth" { 로컬에서 terrafrom을 활용하여 EKS를 삭.. Data/Data Engineering 2022. 5. 13. [Terraform] EKS iam terraform 배포시 "The configmap "aws-auth" does not exist" 에러 해결 방법 Terraform을 활용하여 EKS의 권한관련 IAM를 설정할때 아래와같이 코드를 추가하면 설정할수가있다 https://registry.terraform.io/modules/terraform-aws-modules/eks/aws/latest Terraform Registry registry.terraform.io # aws-auth configmap manage_aws_auth_configmap = true aws_auth_roles = [ { rolearn = "arn:aws:iam::66666666666:role/role1" username = "role1" groups = ["system:masters"] }, ] aws_auth_users = [ { userarn = "arn:aws:iam::666.. TIL/개인공부 2022. 5. 12. [EKS] 처음 생성한 AWS EKS local terminal에서 연결하기 전제조건이 있다 먼저 aws credential이 설정이 되어있어야한다 그리고 eks를 생성한 게정으로 접속이 되어있어야한다 만일 zsh를사용하고 있다면 설정한 계정이 옆에 떠있을것이다 그리고 이미 생성한 eks이름을 기억한다음에 아래와 같은 명령어 실행 aws eks --region update-kubeconfig --name 이 명령어는 기본적으로 홈 디렉토리의 .kube 디렉토리에 config파일을 만들고 그 내용을 업데이트 한다. "kubectx -c" 명령어를 쳐보면, 새롭게 생성된 Context로 설정된것을 볼수가있다 Data/Data Engineering 2022. 4. 25. [AWS] EKS(Elastic Kubernetes Service)란? (WIP) 쿠버네티스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아래와같이 세세하게 다양한 설정이 필요하다. 또한, 업그레이드에 필요한 과정들 또한 반복적이고 어려울수가 있다. 이외로 네트워크 설정이나 etcd설정등 복잡한 설정들이 많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복잡한 과정을 생략하기 위해 AWS에서는 EKS라는 ControlPlane을 직접 구성하지 않아도 쿠버네티스 환경을 편리하게 제공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VPC(Virtual Private Cloud) [참고] https://nearhome.tistory.com/128 [참고] https://medium.com/harrythegreat/aws-가장쉽게-vpc-개념잡기-71eef95a7098 먼저 VPC에 대해서 이해 할 필요가 있다. VPC가 없는 상태에서는 여러개의 EC.. 이전 1 다음